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미국 대선이 이제 두달 앞으로 다가왔죠.<br> <br> 해리스, 트럼프 누가 대통령이 되든 차기 국무장관 1순위로 거론되는 두 후보의 최측근을 채널A가 만났습니다.<br> <br> 이들의 외교노선과 대북정책, 정다은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11월 미국 대선을 약 두 달 앞두고 방한한 크리스 쿤스 민주당 상원의원과 빌 해거티 공화당 상원의원. <br> <br>두 사람 모두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대선 후보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의 최측근으로,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각각 국무장관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인물입니다.<br> <br>미국 연방 상원의원단 자격으로 함께 한국을 찾은 이들은 채널A와의 인터뷰에서 양측 모두 미 대선에서 '필승'을 확신했습니다. <br> <br>쿤스 의원은 해리스가 대통령이 된다면 지금의 조 바이든 행정부의 성공적인 외교 기조를 그대로 이어 받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크리스 쿤스 / 미 민주당 상원의원] <br>"(해리스는 부통령으로서) 경제를 강화하고 국가를 더 안전하게 만들고 (한국 등) 동맹을 강화했습니다. 저는 해리스 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의 정책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기대합니다." <br> <br>이에 대해 해거티 의원은 현재 바이든-해리스 정권이 세계 불안을 야기시켰다며 이를 바꾸기 위해서라도 트럼프가 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빌 해거티 / 미 공화당 상원의원] <br>"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에는 세계에 걸쳐 평화와 번영이 있었습니다. 조 바이든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집권하자마자 우리는 중동을 포함한 세계에서 전쟁이 발발하는 것을 보았습니다." <br> <br>대북관에 대해 쿤스 의원은 해리스가 현재 바이든 행정부의 노선을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. <br> <br>[크리스 쿤스 / 미 민주당 상원의원] <br>"북한이 단순히 군수품뿐만 아니라 기술과 무기를 러시아에 제공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우려스럽습니다. 대북 정책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예상합니다." <br> <br>반면 해거티 의원은 트럼프와 김정은 위원장과의 '브로맨스'를 강조하며 그렇지 못한 현재의 바이든 정부를 심판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빌 해거티 / 미 공화당 상원의원] <br>"트럼프가 퇴임할 때 북한은 조용했습니다. 바이든 행정부 하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보세요. 북한은 전례 없는 도발을 다시 시작했습니다. (트럼프의) 과거 실적을 보면 카멀라 해리스보다 훨씬 더 성공적이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습니다." <br> <br>다만 두 사람은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지난해 '캠프데이비드'에서 보여준 한미일 3국 협력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며 이를 통한 '중국 견제'를 공통적으로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크리스 쿤스 / 미 민주당 상원의원] <br>"저는 한국, 일본, 미국 간의 강력하고 깊은 관계가 중국의 행동을 다루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희망합니다." <br> <br>[빌 해거티 / 미 공화당 상원의원] <br>"자유롭고 개방된 경제를 가진 중요한 세 개의 민주국가(한미일)들이 세계에 보여주는 것은, 우리가 중국과 같은 약탈적인 경제에 의해 넘어가지 않을 것이라는 점입니다." <br> <br>또 주한 미군의 방위비 분담금 문제 등 한미 간 과제가 있지만 한미동맹은 어떤 정부가 집권해도 더 견고해 질 것이라는 의지도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윤재영 김래범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ichannela.com